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React - Rest API
    카테고리 없음 2024. 1. 2. 18:09

    리액트에서 Axios를 사용해서 API를 호출하는 방법에대해 공부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ajax, fetch, axios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1-1) ajax는 XMLHttp() 생성자를 통해 자바스크립트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JQuery를 통해 ajax를 보다 보다 쉽게 쓸수있기 떄문에 JQuery와 함께 쓰인다.

    그러나 promise 기반이 아니고, JQuery를 사용하지 않으면 쉽게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Promise란 리액트에서 비동기 처리에 활용되는 객체이다.

    웹 페이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데이터를 모두 받기 전에 웹에 출력하려는 경우를 방지하기위해 활용된다.

    예를 들어, 비동기 로직인 A,B,C 로직이 있을때 Promise를 사용하지않으면 먼저 로직이 끝나는 순서대로 출력이 되지만,

    Promise를 사용하면 A,B,C 순서대로 출력된다.

     

    Promise의 상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Pending(대기) 비동기 로직 처리의 미완료 상태
    Fulfilled(이행) 비동기 로직 처리가 완료된 상태로 Promise 결과값 반환 상태
    Rejected(실패) 비동기 로직 처리의 실패 또는 오류 상태

     

    1-2) fetch는 ES6부터 자바스크립트의 내장 라이브러리로 들어왔다.

    먼저 장점은 promise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점, 내장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별도의 모듈 설치가 필요하지않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브라우저 호환성이 떨어지고 response timeout 처리방법이 없는 등 기능적인 부분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1-3) axios

    axios는 node.js와 브라우저를 위한 http 통신 라이브러리이다.

    fetch처럼 promise를 지원하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fetch와 달리 브라우저 호환성이 좋고 편리하며 기능이 많다.

    npm install axios

    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request), 서버로부터 응답이 오면 (response)를 통해 응답여부를 처리할 수 있다.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응답이 오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요청은 비동기 처리를 해주며, 그 이후에 응답을 

    바탕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then이나 await를 이용한다.

    먼저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axios의 request 메소드에는

    1. GET :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줌

    2. POST : 서버로 데이터를 보냄

    3. PUT : 데이터베이스 내부 내용 갱신

    4. DELETE : 데이터베이스 내부 내용 삭제 

     

    이 네가지의 메소드를 사용한다.

    2-1) GET

    2-1-1) 먼저 지정된 단순 데이터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 -> url만 파라미터로 넘긴다.

    async function getData() {
    	try {
        	//응답 성공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url주소');
            console.log(response);
           } catch (error) {
           //응답 실패
           console.error(error);
           }
       }

    2-1-2) 사용자에 따라 다른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우 -> url과 함께 params:{} 객체도 파라미터로 같이 넘긴다.

    params 자체가 URL에 쿼리 매개변수로 추가된다. 이게 중요하다.

    async fuction getData() {
    	try {
        	const resppnse = await axios.get('url주소', {
            params: {
            //url 뒤에 붙는 param id값
            id: 12345
            }
          });
        console.log(response);
      	} catch (error) {
        //응답 실패
        console.error(error);
      	}
    }
    axios.get(`http://localhost:8080/api/user`,{    // 액세스 토큰을 받아오는 HTTP 요청을 보냅니다.
            params:{
              id_token: String(id_token),
              access_token: String(access_token),
            }
          }).then((res)=>{
            if((res.status == "200")){
              const sessionId = res.data;
              setTimeout(() => {
                window.location.replace("/");
              }, 300); 
            } else {
              alert("서버와 접속이 실패하셨습니다.");
              window.location.replace("/");
            }
          })

     

    2-2) POST

    2-2-1)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Post 메소드에서는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message body에 포함시켜 보낸다.

    보내는 방식은 Get메소드에서 params를 보내는 것과 유사하다.

    async function postData() {
      try {
        //응답 성공 
        const response = await axios.post('url주소',{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username: "devstone",
            password: "12345"
        });
        console.log(response);
      } catch (error) {
        //응답 실패
        console.error(error);
      }
    }

    오늘은 Post, Get 방식으로 API를 호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Get방식을 사용할때엔 Params에 담아서 보내며, Url뒤에 쿼리 매개변수로 사용돼서 노출이 쉽다는 점이였고,

    Post방식을 사용하면 요청 본문(Body)에 데이터를 포함해서 전송하며, 보안에 민감한 회원가입 같은경우 Post방식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느낌으로 이해를 했다.

Designed by Tistory.